지문 분석, GMAT OG, Passage 14, meteor/유성
1. 유성에 대한 wiki의 설명을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미리 읽어보면 도움이 됩니다 J
유성(流星)은 별똥 또는 별똥별이라고도 하며[1], 유성체(문화어: 별찌)가 지구 대기권으로 매우 빠른 속도로 돌입하여 밝은 빛줄기를 형성하는 것이다. 유성은 지구 대기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며, 스스로 빛을 내는 항성과는 다른 것이다.
유성은 혜성에 서 떨어져 나온 돌가루라고 생각할 수 있으며, 유성이 되는 유성체는 대부분 굵은 모래알 정도로 작은 것들이다. 100km 정도 떨어져 있는 두 지점에서 유성을 동시에 관측하면 유성이 발생한 고도를 측정할 수 있다. 맨눈으로 볼 수 있는 유성은 대부분 약 70km 상공에서 발생한 것이다. 또한 스트로보스코프(Stroboscope)를 사용하여 유성을 사진으로 촬영하면 유성체의 속력을 측정할 수 있는데, 평균 50km/s 정도로 측정된다. 지구의 대류권의 두께가 10km 정도임을 생각하면 매우 빠름을 알 수 있다.
혜성에 서 나온 유성체는 초기에는 잘 모여서 띠를 이루다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햇빛에 의한 압력, 해와 목성과 같은 태양계 안의 큰 천체에 의한 중력 건드림(섭동)에 의해 원래 궤도를 이탈하여 태양계의 황도면에 퍼지게 된다. 나이가 젊은 유성류 속에는 혜성이 한 번 해에 접근할 때 함께 나온 젊은 유성체 띠가 존재하는데, 이 띠를 지구가 관통할 때면 1초당 1개 정도로 별똥이 매우 많이 나타나며 그것들은 하늘의 한 점에서 나오는 것으로 보인다. 이것을 별똥만발(meteor outburst)이라고 한다. 혜성으로부터 나온 지 어느 정도 오래된 유성체들은 느슨한 형태로 유성체 흐름을 이루고 있다. 그 속을 지구가 관통할 때면 1분당 1개 정도의 유성을 볼 수 있다. 이것을 유성우라고 한다. 또한 모혜성에서 떨어져 나온 지 많은 시간이 흘러 원래 궤도에서 벗어난 유성체들이 지구 대기 속으로 돌입하여 생기는 유성은 산발유성이라고 한다.
|
(http://ko.wikipedia.org/wiki/%EC%9C%A0%EC%84%B1)
아래 본문의 쌍둥이 자리(geminid)의 meteor shower 사진입니다
(출처: http://science.nasa.gov/science-news/science-at-nasa/2004/06dec_geminids/)
2. 본문 overview
A meteor stream is composed of dust particles that have been ejected from a parent comet at a variety of velocities.
유성의 stream 은 아빠별의 variety of velocities(다양한 중력들)으로부터 떨어져 나간 먼지 조각으로 구성(composed)되어 있습니다. : 아빠별의 중력으로부터 떨구어진… 그런 애들인 거죠.
These particles follow the same orbit as the parent comet, but due to their differing velocities they slowly gain on or fall behind the disintegrating comet until a shroud of dust surrounds the entire cometary orbit.
이러한 particles(아까 그 먼지 조각의 그 조각)은 부모별과 같은 궤도를 도는데, 각각 다른 중력을 가진 애들이 아빠별(붕괴되고 있는)을 엎치락 뒤치락 따라가면서(gain on, fall behind), 행성 전체 궤도를 요 조각으로 가득 채울 때까지 합니다. : 아빠별이 붕괴되고 있는 상황에, 이런 조각들은 아빠별 주변에 계속 생겨나서 아빠 별을 둘러쌉니다.
Astronomers have hypothesized that a meteor stream should broaden with time as the dust particles' individual orbits are perturbed by planetary gravitation fields.
그래서, 천문학자들은 가설을 세웠습니다. 그 가설은 행성(아빠 별)의 중력장이 약해짐(perturbed: alarm)에 따라서, meteor stream(아까 말했듯, 아빠 조각 깨지고, 주변에 particle이 생기는 것)이 시간에 따라 넓어지는 (broaden: wide)는 것입니다. : 아빠별이 점점 붕괴되는 상황에서, 주변에 생겨나는 별조각(유성의 stream, 아까 아빠별에서 떨어져 나간 조각들)들은 아빠별이 이 자식들을 잡아놓는 힘(중력장)이 약하니까, 점점 wide하게 분포된다는 가설을 세웠다는 이야기인듯 합니다.
A recent computer-modeling experiment tested this hypothesis by tracking the influence of planetary gravitation over a projected 5000-year period on the positions of a group of hypothetical dust particles.
최근 컴퓨터 모델링으로 요걸 실험해서 증명했습니다. 요걸 어떻게 했냐면, 가상으로 위의 과정을 만들어서 5000년 단위로 잡고, 시뮬레이션을 돌려본거네요. (좀 더 명확히 말하면, tracking the influence of planetary gravitation한겁니다. 즉, 중력의 변화에 따른 영향을 추적한겁니다.)
In the model, the particles were randomly distributed throughout a computer simulation of the orbit of an actual meteor stream, the Geminid. The researcher found, as expected, that the computer-theories broadened with time.
실제 쌍둥이 자리(Geminid)의 유성을 시뮬레이션 돌려봤더니, 예상처럼 잘 됩니다 J
Conventional theories, however, predicted that the distribution of particles would be increasingly dense toward the center of a meteor stream. Surprisingly, the computer-model meteor stream gradually came to resemble a thick-walled, hollow pipe.
근데, 전통적인 이론에서는 (however! 이런 거 보이면 중요하다고 하네요) 예측하기를, 유성 stream의 중심으로 갈수록 밀도가 증가될 거라고 예측했는데요. 놀랍게도!!! 시뮬레이션 해보니까, 이 유성 stream이 벽으로 싸여있는 듯한, 파이프처럼 속이 비어있는 그런 모양이었다는 겁니다!
Whenever the Earth passes through a meteor stream, a meteor shower occurs. Moving at a little over 1,500,000 miles per day around its orbit, the Earth would take, on average, just over a day to cross the hollow, computer-model Gemini stream if the stream were 5000 years old.
지구가, 이러한 유성 stream을 지날 때, 유성우(a meteor shower)가 발생합니다. 지구는 하루에 1500000마일을 돌고, 시뮬레이션 돌려보니, 쌍둥이 자리 stream이 5000년짜리 stream일 때, 이를 통과하는데 하루 이상 걸립니다.
Two brief periods of peak meteor activity during the shower would be observed, one as the Earth entered the thick-walled pipe" and one as it exited. There is no reason why the Earth should always pass through the stream's exact center, so the time interval between the two bursts of activity would vary from one year to the next.
좀 전에 나온, shower(그림 참조)가 정점에 달하는 것을 볼 수 있을 때가, 아까 말한 파이프 모양 유성 stream를 들어가고 나올 때입니다. 그치만 지구가 stream의 정확한 중심을 지나갈 이유는 없기 때문에, 시간 간격은 매년 유동적일 것입니다.
Has the predicted twin-peaked activity been observed for the actual yearly Gemini meteor shower?
이러한 예측(2개의 정점!)이 실제로도 관측이 되어왔는지……요?
The Gemini data between 1970 and 1979 show just such a bifurcation, a secondary burst of meteor activity being clearly visible at an average of 19 hours (1,200,000 miles) after the first burst.
1970년에서 1979년의 쌍둥이 자리 데이터를 보면, 그래도 간격이 존재하는데, 처음의 극(들어갈 때)의 등장(burst)과 다음 극(나갈 때)의 평균 간격은 19시간(1200000마일)로 clearly visible합니다.
The time intervals between the bursts suggest the actual Geminid stream is about 3,000 years old.
이러한 시간차는 쌍둥이 자리 stream이 실제로는 3000년 짜리인 것을 시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