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AT OG, CR, 79

GMAT 일기장 2011. 3. 2. 01:59

When hypnotized subjects are told that they are deaf and are then asked whether they can hear the hypnotist, they reply, "No." Some theorists try to explain this result by arguing that the selves of hypnotized subjects are dissociated into separate parts, and that the part that is deaf is dissociated from the part that replies.

최면술사가 사람들에게 '청각장애'라는 최면을 걸고, 그들에게 "들려요?"라고 했을 때 그들은 "아뇨"라고 대답했습니다. 이에 대해서 몇몇 이론가들은 가설을 세웠습니다.

(1) "최면 상태에서 최면에 걸린 사람의 자아는 각각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있고,
(2) 즉, 최면상태의 "청각장애(part that deaf)"라는 파트는, "대답(part that reply)" 이라는 파트와 각각 나누어져 있다.

Which of the following challenges indicates the most serious weakness in the attempted explanation described above?
이론가들의 가설을 약화시키는 것은?

(A) Why does the part that replies not answer, "Yes"?

왜 대답 파트는(part of that replies)는 "예" 라고 대답하지 않았는지?

(B) Why are the observed facts in need of any special explanation?

(C) Why do the subjects appear to accept the hypnotist's suggestion that they are deaf?

(D) Why do hypnotized subjects all respond the same way in the situation described?

(E) Why are the separate parts of the self the same for all subjects?

 

이론가들의 가설처럼, 자아들이 서로 연계되어 있지 않고, 분리되어 있다면… (part that is replies 와 part that is deaf는 서로 별개(distinct)의 존재 )
"part that is replies"는 내가 청각장애인지 아닌지 인지하지 못하고 있어야 합니다.

즉, "들려요"라는 질문에 "아뇨"라고 대답한 것은, replies파트와 deaf파트간에 서로 내용을 공유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만약, 정말 각 parts가 서로 분리되어 있는 상태였다면, "들려요?" 라고 물었을 때 "네"라고 했을 것입니다.

Posted by kkckc
,

GMAT의 SC 문제를 보면, 가끔 In That이라는 녀석이 나올 때가 있습니다. 이 녀석이 뭘 하는 녀석인지 봅시다.

* …이라는 점에서, …이므로(since, because)

e.g.) The conclusion is wrong in that it is based on false premises.

잘못된 전제에 근거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결론은 틀렸다.

 

GMAT에서는 in that의 일반적인 용법인 because와 조금 다르게 쓰이게 되는데,

~라는 점에서의 용법으로 different, unlike, unusual한 부분을 연결할 때 쓰인다고 합니다. 다음 예를 봅시다.

* Blue-winged warblers are unlike most species of warbler in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tell the male and female apart.

* Teratomas are unusual form of cancer in that they are composed of tissues such as tooth and bone, tissues not normally found in the organ in which the tumor appears.

 

다음 문제는, 이 유형의 대표적인 문제인 OG, SC, 208번입니다.

208. Teratomas are unusual forms of cancer because they are composed of tissues such as tooth and bone not normally found in the organ in which the tumor appears.

(A) because they are composed of tissues such as tooth and bone

(B) because they are composed of tissues like tooth and bone that are

(C) because they are composed of tissues, like tooth and bone, tissues

(D) in that their composition, tissues such as tooth and bone, is

(E) in that they are composed of tissues such as tooth and bone, tissues

 

* in that이 나와야 하기 때문에, 답은 D와 E중의 한가지입니다. D에서는 their composition가 tissues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이지만, 적절하지 않습니다. 답은 E입니다.

* 다른 예문들을 보니 in that뒤에 S+V를 오는 형태로 많이 오던데, 근거는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참고만 하세요.

Posted by kkckc
,

She sings like her mother" - correct

She sings as her mother does" - correct

Susan, like her mother, is a good singer. – correct

She sings like her mother does" – wrong

 

Joe, like Mary, has a cat. - correct

Joe has a cat, as does Mary. – correct

 

Kaplan Verbal책의 뒷부분을 보면, AS와 Like의 용법에 차이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AS는 actions를 비교합니다. 그에 비해 LIKE는nouns을 비교합니다.

e.g.: Like find wine, fruitcake tastes better after it has aged

VS

Dogs don't scratch up furniture, as cats often do do

 

다른 방법으로는, Manhattan GMAT에서 제시하는 방법입니다.

* Like는 사람이나 사물을 비교하기 위해서 사용됩니다. (any nouns)

* As는 Clauses(절, S+V)를 포함하는 것의 비교에 사용됩니다. (Clauses는 verb를 include하는 any phrase입니다)

 

이러한 질문들에 대해서 BEATTHEGMAT사이트에서 답변으로 달리는 as와 like의 용법 차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http://www.beatthegmat.com/usage-of-like-vs-as-vs-such-as-t53506.html)

Use like when you want to focus on two nouns;

Use as when you want to focus on two nouns doing two actions.

이곳에서는 want to focus on이라는 말을 적었군요.

 

제시하고 있는 방법을 정리하면,
(1) like는 any nouns의 비교에 사용된다.
as는 절(S+V)의 비교에 사용된다.
(2) as는 actions를 비교한다.
입니다. 다음 문제를 한번 풀어봅시다.

OG.126. More than thirty years ago Dr. Barbara McClintock, the Nobel Prize winner, reported that genes can "jump," as pearls moving mysteriously from one necklace to another.

(A) as pearls moving mysteriously from one necklace to another

(B) like pearls moving mysteriously from one necklace to another

(C) as pearls do that move mysteriously from one necklace to others

(D) like pearls do that move mysteriously from one necklace to others

(E) as do pearls that move mysteriously from one necklace to some other one

 

30년도 전에, Barbara McClintock박사(노벨상 받은)는 신기하게 하나의 목걸이에서 다른 목걸이로 진주가 움직이는 것처럼, 유전자가 "jump"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

위의 기준으로 보면, Pearls가 Jump한 것은, Action인 것 같아 얼핏 답은 C 같지만(물론, one, another로 인해 obviously하게 답은 될 수 없지만) 답은 B입니다. 그런데, 답이 그렇다고 해도, like를 쓴 것은 이상해 보이지 않나요? 왜냐하면, GMAT은 늘 '경제적'인 문장 보다는 '정확'한 문장을 제시하기 때문입니다. (GMAT은 어쩔 수 없이 답이 되는 녀석보다는, 명확한 표현을 좋아합니다.)

 

GMATCLUB에 어떤 분이 잘 정리해 놓은 것을 봅시다. (http://gmatclub.com/forum/as-like-98308.html)
이 곳에서 써 먹을 법 한 차이를 설명하고 있는 것을 보면,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1. AS는 도입 절(S+V)을 가지고 있고, LIKE는 도입 구(nouns)를 가지고 있음 (As introduces clauses (which have verbs) and like introduces phrases (which don't have verbs))
2. As절은 Real 인 것의 비교를 위해 사용되고, Like는 not real이지만, 상상 가능한(imaginary)한 것을 비교함 (As clause construction is used to introduce comparisons that are real. Like phrase constructions are preferred when making comparisons that are not real but imaginary.)

다른 분이 정리한 것을 봐도, as pearls do라는 문장은, 실제 은유적이 표현을 실제 현상인 것처럼 표현하고 있기 때문에 답이 아니라고 하네요.

다시 말하면 '은유적인 표현에는, like를 쓰는 것이 좋음'이라는 사실이 추가로 GMAT에서 답 가르는데 조금 도움이 될 듯 합니다.

자 그럼 자주 나오는 예문 중 다음은 어떤 문장이 좋을까요?

(1) My Siamese cat moved across the floor just like a lion stalking its prey.

(2) My Siamese cat moved across the floor just as a lion stalks its prey.

둘 중 어느 문장이 좋다고 할 수 있을까요?

 

위 BEATTHEGMAT링크의 설명을 보면, 두 번째 문장은 좋지 않다고 설명합니다. 이유는, 우리는 고양이의 움직임을 설명하고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또한, as가 at the same time의 의미도 있는데, 이 또한 이 문장에서 모호함을 발생시킵니다.) 또한, 아까 말한 것처럼 은유적인 표현을 사용한다면, as보다는, like를 사용하는 것이 좋을 듯 하네요.

 

정리 : (1) like는 any nouns의 비교에 사용된다.
as는 절(S+V)의 비교에 사용된다.
(2) 위의 방법으로 판단이 어려운 경우에, 은유적인 표현법을 사용하고 있는 문장이라면, like를 사용한다.

 

추가: 상관없는 내용이라, 본문에는 언급하지 않았지만, like관련 GMAT문제에서 강조되는 것 중 한가지는 For example의 용도로 like가 쓰인 것은 보통 답이 아닙니다. such as를 사용하세요.

Reference: 이곳도 정리가 잘 된 편이라, 참고하시면 좋을 듯 하네요 http://grammar.quickanddirtytips.com/like-versus-as.aspx

Posted by kkckc
,

Kaplan에서 Optimal 하게 제시하는 RC 전략은 다음과 같습니다.

저자에 집중하기: GMAT RC의 목적은 글에 나타난 저자의  thinking과 doing에 대한 이해도를 측정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읽는 focus는 늘 저자에 맞추어져 있어야 합니다. 출제자는 본문의 결론을 묻거나, 내용들이 어떻게 조화되어있는지에 대한 당신의 이해도를 시험할 것입니다. 그러므로, 저자의 의도를 파악하는 것은 지문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왜 이런 구성으로 글이 쓰여졌는지 와, 이 글의 목적은 무엇인지?)

사소한 것에 집착하지 말기: 본문의 자세한 내용들은 저자의 think이나 doing을 표현하기 위해서 사용됩니다. 모든 내용을 이해하고 소화하는 것은 시간낭비입니다. 항상 본문의 기본내용을 축약하십시오.

처음 세 문장을 잘 읽기: 처음 세 문장은 언제나 가장 중요합니다. 그러므로 다른 부분보다 이 부분을 집중해서 읽으십시오. 왜냐하면, topic과 scope, 그리고 종종 글의 목적, main idea, 주제에 대한 작가의 태도가 이곳에 드러나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첫 세 문장은 글의 방향에 대한 큰 힌트를 제공합니다.

주제를 간략히 메모하고 로드맵을 만들기: paragraph은 글이라는 빌딩을 구성하는 주춧돌과 같은 존재입니다. 그러므로, paragraph topic을 메모하고, mental road map을 만드십시오. 스스로 질문해보십시오. "이 paragraph의 목적은 뭐지? 기본 핵심이 무엇이지? 이 paragraph가 전체 문장의 어떤 역할을 하지?"

 

Global Questions 공략법

다음과 같은 것은 보통 답이 아닙니다.

1. 너무 자세한 것, 지문의 한 부분만 지나치게 강조한 것

2. 너무 범위가 넓은 것, 지문의 범위를 넘어선 것

3. 지문을 반박하는 것

4. 너무 강한 논조의 말: 답의 지문이 너무 강하게 말하고 있다면, 본문이 명확하게 이 지문을 뒷받침하는지 자문해보십시오 (아니라면, 답이 아닙니다)

 

Detail Questions 공략법

다음과 같은 것은 보통 답이 아닙니다.

1. 지문을 반박하는 것

2. 지문과 비슷한 단어들을 사용하였지만, 본문의 내용을 왜곡하는 것

3. 본문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 본문에서 말 안 한 것

4. 본문의 잘못된 부분을 바꾸어 말한 것 (다시 말해, 질문에서 물어본 내용이 아닌 것)

5. 너무 강한 논조의 단어

Posted by kkckc
,

The new school of political history that emerged in 1960's and 1970's sought to go beyond the traditional focus of political historians on leaders and government institutions by examining directly the political practices of ordinary citizens.
1960년과 1970년대에 생겨난 정치사에 대한 새로운 학파(school)는 리더들과 정부기관의 정치사에 중점을 둔 전통적인 관점에서 벗어나, 일반적인 시민들의 정치적인 행동들을 직접적으로 연구하였다.

Like the old approach, this new approach excluded women. The very techniques these historian used to uncover mass political behavior in the nineteenth-century United States-quantitative analyses of election returns, for example-were useless in analyzing the political activities of women, who were denied the vote until 1920.
이 새로운 시도는 예전의 접근법처럼 여성들을 배제하였다. 이 사람들이 사용한 19세기 동안 대량의 정치적인 행동들을 밝혀내기 위하여 역사가들이 사용해왔던 다양한 기술들-예를 들면 선거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것-은 여성들의 정치행위를 분석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았다. (그 여성들은1920년대 전까지는 여성들의 투표권이 거부되었었던 사람들)

=> 1960, 1970년대에 발생한 시민들의 정치적인 행동을 조사한 정치사 학파가 있었는데, 새로운 시도였지만, 여전히 여성들을 배제하였음 (그 전에는 정치사 학파들이 리더들이나 정부기관들에 집중된 관점을 가지고 있었음)

 

By redefining "political activity," historian Paula Baker has developed a political history that includes women.
역사가인 Paula Baker는 여성을 포함하는 '정치활동'의 재정의를 통해 '정치사'를 발전시켰다.

She concludes that among ordinary citizens, political activism by women in the nineteenth century prefigured trends in twentieth-century politics.
그녀는 19세기의 평범한 여성들 가운데서의 정치적인 행동주의가 20세기의 정치의 트랜드들을 예견했다고 말하였다.

Defining "politics" as "any action taken to affect the course of behavior of government or of the community," Baker concludes that, while voting and holding office were restricted to men, women in the nineteenth century organized themselves into societies committed to social issues such as temperance and poverty.
그녀는 '정치'를 '커뮤니티나 정부에 의해서 발생되는 일련의 행동'이라 정의함으로써, Baker는 투표와 공직이 남자에게만 제한되던 이 시기 동안에, 19세기 여성들은 사회적인 이슈 (절제나 가난 같은)속으로 자신들을 조직화하여 참여하였다고 하였다.

In other words, Baker contends, women activists were early practitioners of nonpartisan, issue-oriented politics and thus were more interested in enlisting lawmakers, regardless of their party affiliation, on behalf of certain issues than in ensuring that one party or another won an election.
다시 말해, Baker는 주장하기를, 여성 행동주의자들이 초 당파적, 이슈 중심의 실천가들이었다고 말한다. 또한 그로 인해 그들의 정치적인 성향(한 당을 지지)에도 불구하고, 당의 승리보다는(on behalf of: 보다는, 대신하여) 특정 이슈를 위하여 lawmaker에 포함되는 것에 관심을 가졌다.

In the twentieth century, more men drew closer to women's ideas about politics and took up modes of issue-oriented politics that Baker sees women as having pioneered.
20세기에는, 더 많은 남성들이 정치에 대해서 이슈 중심의 정치색(위 여성들의 아이디어)에 근접해 있다. (이슈중심 정치색은 Bakers가 여성들을 개척자로 보았던 그 생각들)

=> 역사가인 PB가 정치라는 말의 뜻을 넓게 해석하여 여성을 포함시킴. 그녀는 19세기 여성들이 특정 당을 지지하기보다는, 이슈 중심(issue oriented)의 정치적 성향을 가졌었다고 보고 있음. 그리고 이러한 진보된 생각은 20세기에도(더 많은 남성들에게) 나타나고 있음

Posted by kkckc
,

Seeking a competitive advantage, some professional service firms (for example, firms providing advertising, accounting, or health care services) have considered offering unconditional guarantees of satisfaction.

경쟁우위를 얻기 위해서, 몇몇 professional service firms들은 (예를 들면, 광고나, 회계, 또는 건강 관리 서비스)들은 무조건의 고객만족보장을 고려했다.

Such guarantees specify what clients can expect and what the firm will do if it fails to fulfill theses expectations. Particularly with first-time clients, an unconditional guarantee can be an effective marketing tool if the client is very cautious, the firm's fees are high,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bad service are grave, or business is difficult to obtain through referrals and word-of mouth.

이러한 보장들은 어떤 고객들이 '고객이 무엇을 기대할 수 있는지'와 '만족을 실패할 경우 회사가 어떻게 해줄 건지'명시(specify)하고 있다. 특히, 첫 고객들의 경우, 이러한 무조건적인 보장은 아주 효과적인 마케팅 툴이 될 수 있다.
다음과 같은 경우: 고객이 '회사에 대해 못미더울 경우(cautious)', 회사에 지불하는 비용이 높은 경우, 서비스 결과가 나쁘면 치명적(grave)인 경우, 입에서 나온 말을 신뢰하기 어려운 비즈니스의 경우.

 

However, an unconditional guarantee can sometimes hinder marketing efforts. With its implication that failure is possible, the guarantee may, paradoxically, cause clients to doubt the service firm's ability to deliver the promised level of service.

그러나, 이러한 무조건적인 보장은 때때로 마케팅 효과들의 장애가 될 수 있다. 역설적으로 이러한 보장들은 실패할 수 있다는 암시와 함께 고객들로 하여금 회사가 그들이 약속한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이 있을지 의심하게 만든다.

It may conflict with a firm's desire to appear sophisticated, or may even suggest that a firm is begging for business. In legal and health care services, it may mislead clients by suggesting that lawsuits or medical procedures will have guaranteed outcomes.

이러한 것은 쫌 있어 보이려는(sophisticated: 세련된) 회사의 희망사항과 충돌하거나, 회사가 비즈니스를 위해 구걸하는 것처럼 보이게 할 수 있다(suggest: 암시, 연상시키다). 또한, 법률과 care 서비스에서, 이는 고객들로 하여금 medical procedures나 lawsuit의 결과를 보장할 것처럼 오해하게 할 수 있다.

Indeed, professional service firms with outstanding reputations and performance to match have little to gain from offering unconditional guarantees. And any firms that implements a commensurate commitment to quality of service is merely employing a potentially costly marketing gimmick.

사실, 잘나가거나 정말 잘 하는(outstand reputations and performance to match) professional service firms들은 이러한 무조건적인 보장을 통해 얻을 것이 별로 없다. 그리고, 단지 보편적인(commensurate) 질의 회사들이, 잠재적인 비용을 발생시키는 마케팅 눈속임을 사용하는 것이다.

Posted by kkckc
,

Most large corporations in the United States were once run by individual capitalists who owned enough stock to dominate the board of directors and dictate company policy.

미국의 대기업들은 한때 대주주인 개인투자자들에 의해서 좌지우지 되었었다. (임원과 회사규범을 지배할 만큼 주식이 있는 개인 투자자)

Because putting such large amounts of stock on the market would only depress its value, they could not sell out for a quick profit and instead had to concentrate on improving the long-term productivity of their companies.

왜냐하면, 그런 많은 주식을 팔아봐야, 가치만 떨어지기 때문에, 그들은 단기수익을 위해 이것들을 팔 수 없었고, 대신 그들은 그 회사의 장기 생산성의 향상에 목적을 두었었다.

Today, with few exceptions, the stock of large United States corporations is held by large institutions—pension funds, for example—and because these institutions are prohibited by antitrust laws from owning a majority of a company's stock and from actively influencing a company's decision-making, they can enhance their wealth only by buying and selling stock in anticipation of fluctuations in its value.

오늘날, 몇몇 예외들과, 미국 대기업들의 주식은 대형기관들 - 예를 들면 연금 funds- 이 가지고 있고, 반 독점법이 대형기관들의 주식 대량 소유나, 경영권 참여를 금지하기 때문에, 그들은 주식의 변동을 예측해서 팔고 사는 것만으로, 자산을 불릴 수 있게 되었다.

A minority shareholder is necessarily a short term trader. As a result, United States productivity is unlikely to improve unless shareholders and the managers of the companies in which they invest are encouraged to enhance long-term productivity (and hence long-term profitability), rather than simply to maximize short-term profits.

Minority 주주들은 필연적으로 단기 투자자들이다. 이 결과로, 미국의 생산성은 증가할 것 같지 않아 보인다 (long-term productivity 보다 short-term profits을 추구하게 되기 때문에)

=> 옛날에는 대주주 개인투자자들이 장기투자로 회사 경영에 참여해서, 장기 전략을 세웠지만, 지금은 institutions들이 반 독점법으로 인해서 경영권에 참여할 수 없고, 회사의 majority 주주가 될 수도 없다. 이러한 상황은 필연적으로 그들을 장기투자자 보다는 단기 투자자를 만드는데, 단기투자자들은 장기 생산성 보다는 단기 순익을 추구하기 때문에, 회사의 생산성은 그닥 증가하지 않는다.

 

Since the return of the old-style capitalist is unlikely, today's short-term traders must be remade into tomorrow's long-term capitalistic investors.

옛날 방식의 자본가가 복귀할 것 같지 않은 상황에서, 오늘날의 단기 trader들은 반드시 내일을 위한 장기 자본 투자자로 재구성되어야 한다.

The legal limits that now prevent financial institutions from acquiring a dominant shareholding position in a corporation should be removed, and such institutions encouraged to take a more active role in the operations of the companies in which they invest.

대형기관들이 대주주(dominant 한)가 되지 못하게 하는 이러한 법적 제제는 없어져야 한다. – 그리고, 이러한 이 대형기관들은 좀더 그들이 투자한 곳에 active role을 가지도록 encouraged되어야 한다.

In addition, any institution that holds twenty percent or more of a company's stock should be forced to give the public one day's notice of the intent to sell those shares.

또한, 20%나 그 이상의 주식을 가진 기관들은 언젠가 그들이 이 주식들을 팔기 하루 전에 통지(one day's notice)하도록 강제(forced)되어야 한다.

Unless the announced sale could be explained to the public on grounds other than anticipated future losses, the value of the stock would plummet and, like the old-time capitalists, major investors could cut their losses only by helping to restore their companies' productivity.

만약 통지된 sale이 예상되는 미래의 손해 이외의 다른 이유(근거)들에 대해서 public에게 설명되어 지지 않는다면, 주식가치는 (옛날의 자본가들 때처럼) 추락할 것이다, 주 투자자들은 회사의 생산성을 회복시키는 것을 돕는 방식으로만 그들의 손해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Such measures would force financial institutions to become capitalists whose success depends not on trading shares at the propitious moment, but on increasing the productivity of the companies in which they invest.

이러한, 조치(measures)들은 금융 기관들이 그들의 성공을 순간의 단기 트레이드에 의존하지 않고, 그들이 투자한 회사의 생산성 향상에 의존하는 자본가가 되게 할 것이다.

=> 그래서, 반 독점 법을 없애되, 투자했다가 상황 안 좋으면 주식 빼서 도망 못 가도록 팔기 하루 전 공지를 강제해서, 투자자와 회사가 공동운명체가 되도록, 그리고 장기 투자자가 되어 회사의 생산성에 기여하도록 하자는 이야기.

Posted by kkckc
,

GMAT OG, CR, 197

GMAT 일기장 2011. 2. 19. 12:04

197. To persuade consumers to buy its personal computers for home use, SuperComp has enlisted computer dealers in shopping centers to sell its product and launched a major advertising campaign that has already increased public awareness of the SuperComp brand. Despite the fact that these dealers achieved dramatically increased sales of computers last month, however, analysts doubt that the marketing plan is brining SuperComp the desired success.

SuperComp회사는 PC판매를 위해
(1) 광고를 크게 해서 브랜드 인지를 높였다.
(2) 쇼핑센터에 자사 PC 판매를 위한 computer dealer를 배치시켰다
=-> 위의 딜러가, 저번 달에 높은 컴퓨터 판매량을 거두었다.

그러나, analysts는 위의 마케팅 plan이 desired success를 가져왔는지 의문을 제시하였다.

Which of the following, if true, best supports the claim that the analysts' doubt is well founded?
analysts의 주장을 강화하는 지문은 무엇인가?

(A) In market surveys, few respondents who had been exposed to SuperComp's advertising campaign said they thought there was no point in owning a home computer.

(B) People who own a home computer often buy a second such computer, but only rarely do people buy a third computer.

(C) SuperComp's dealers also sell other brands of computers that are very similar to SuperComp's but less expensive and that afford the dealers a significantly higher markup.

SuperComp딜러들은 SuperComp의 컴퓨터와 유사기종이지만 저렴한 다른 브렌드 PC를 판매하였다. 이것이 딜러의 높은 판매율의 요인이다.

(D) The dealers who were chosen to sell SuperComp's computers were selected in part because their stores are located in shopping centers that attract relatively wealthy shoppers.

(E) Computer-industry analysts believed before the SuperComp campaign began that most consumers who already owned home computers were not yet ready to replace them.

답은 C입니다. 마케팅 플렌의 목표는 SuperComp의 PC판매가 목적이었습니다. SuperComp의 딜러가 자사 PC가 아닌 다른 브랜드의 PC를 팔았을 경우에는 매출 증가나 딜러의 판매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본래의 마케팅 플랜의 목적(자사 PC판매)이 약화됩니다.

Posted by kkckc
,

GMAT OG, CR, 178

GMAT 일기장 2011. 2. 19. 00:47

178. In countries in which new life-sustaining drugs cannot be patented, such drugs are sold at widely affordable prices; those same drugs, where patented, command premium prices because the patents shield patent-holding manufacturers from competitors. These facts show that future access to new life-sustaining drugs can be improved if the practice of granting patents on newly developed life-sustaining drugs were to be abolished everywhere.

(1) life-sustaining drugs가 특허가 될 수 없는 나라들에서, 이 약들은 싸게(적정한 가격으로: affordable price)팔린다.|
(2) 이 약들이 특허로 보호받는 나라들에서는 비싸게 팔린다.
(3) 새로 개발된 life-sustaining drugs에 대해 특허 철폐하면, 약의 접근성이 좋아질 것이다.

Which of the following, if true, most seriously weakens the argument?

이 주장을 약화 시키는 지문은?

(A) In countries in which life-sustaining drugs cannot be patented, their manufacture is nevertheless a profitable enterprise.

(B) Countries that do not currently grant patents on life-sustaining drugs are, for the most part, countries with large populations.

(C) In some countries specific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pharmaceutical drugs can be patented even in cases in which the drugs themselves cannot be patented.

(D) Pharmaceutical companies can afford the research that goes into the development of new drugs only if patents allow them to earn high profits.

제약회사들은 특허가 그들에게 높은 이익을 보장할 때에만 신약 개발에 투자할 수 있다(투자할 여력이 있다).

(E) Countries that grant patents on life-sustaining drugs almost always ban their importation from countries that do not grant such patents.

 

답은 D입니다. 결국, 약의 특허가 없어지면, 일시적으로 약에 대한 접근성이 좋아지겠지만, 제약회사들은 신약에 투자를 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결국은 new-life sustaining drug의 개수 자체가 감소하면서 접근성이 약화됩니다.

어찌 보면 어려운 문제 같지만, 실제로도 많은 신약들이 이익관계를 중심으로 개발되는 현실을 반영하면, 굉장히 현실적인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Posted by kkckc
,

GMAT OG, CR, 173

GMAT 일기장 2011. 2. 18. 23:45

173. Researchers have found that when very overweight people, who tend to have relatively low metabolic rates, lose weight primarily through dieting, their metabolisms generally remain unchanged. They will thus burn significantly fewer calories at the new weight than do people whose weight is normally at that level. Such newly thin persons will, therefore, ultimately regain weight until their body size again matches their metabolic rate.

(1) 과학자들은 매우 과 체중인 사람들의 경우, 신진대사율이 낮은 경향이 있고, 주로 밥 안 먹어 살 빼는, 그들의 신진대사(metabolisms)는 일반적으로 잘 변하지 않음을 발견하였다.
(2) 그러므로, 그 사람들은 보통 사람들보다 칼로리를 매우 적게 소모할 것이다.
(3) 그래서, 살 빼서 새사람이 되어봐야, 결과적으로 신진대사율에 맞추어서 금방 살 다시 찔(ultimately regain weight) 것이다.

The conclusion of the argument above depends on which of the following assumptions?
이 결론은 어떤 가정에 근거하고 있는가?

(A) Relatively few very overweight people who have dieted down to a new weight tend to continue to consume substantially fewer calories than do people whose normal weight is at that level.
원래 과 체중이었다가 다이어트 해서 살 뺀 사람들은, 일반인들과 비교하여 지속적으로 적은 칼로리를 소모하는 경향이 있다.

(B) The metabolisms of people who are usually not overweight are much more able to vary than the metabolisms of people who have been very overweight.

(C) The amount of calories that a person usually burns in a day is determined more by the amount that is consumed that day than by the current weight of the individual.

(D) Researchers have not yet determined whether the metabolic rates of formerly very overweight individuals can be accelerated by means of chemical agents.

(E) Because of the constancy of their metabolic rates, people who are at their usual weight normally have as much difficulty gaining weight as they do losing it.

 

답은 A입니다. 가끔 GMAT은 이렇게 너무나 현실적인 (같이 매점에 가도 나만 살찌는……) 문제를 제시하곤 합니다.

Posted by kkckc
,

GMAT OG, CR, 150

GMAT 일기장 2011. 2. 18. 17:34

150. United States hospitals have traditionally relied primarily on revenues from paying patients to offset losses from unreimbursed care. Almost all paying patients now rely on governmental or private health insurance to pay hospital bills. Recently, insurers have been strictly limiting what they pay hospitals for the care of insured patients to amounts at or below actual costs.

(1) 미국 병원들은 unreimbursed care의 손해를 환자가 병원에 내는 비용들로 상충(offset)해왔다.
(2) 대부분의 환자들은 정부나 private의 건강 보험에 의지하여, 병원비를 낸다.
(3) 최근, 보험사들은 치료로 인해 지불하는 돈을 실제 비용이나 이 이하로 제한 했다.

(Unreimbursed Care: 치료는 해주었는데 지급을 받지 못한 것)

Which of the following conclusions is best supported by the information above?

본문에서 얻을 수 있는 결론은?

(A) Although the advance of technology has made expensive medical procedures available to the wealthy, such procedures are out of the reach of low-income patients.

(B) If hospitals do not find ways to raising additional income for unreimbursed care, they must either deny some of that care or suffer losses if they give it.

만약, 병원이 unreimbursed care을 만회하기 위한 추가적인 수입원을 찾지 못한다면, 그들은 환자 일부를 거부하거나, 손해를 보게 될 것이다.

(C) Some patients have incomes too high for eligibility for governmental health insurance but are unable to afford private insurance for hospital care.

(D) If the hospitals reduce their costs in providing care, insurance companies will maintain the current level of reimbursement, thereby providing more funds for unreimbursed care.

(E) Even though philanthropic donations have traditionally provided some support for the hospitals, such donations are at present declining.

 

보험사가 지급을 제한하면, 우선 unreimbursed care에 들어가던 돈이 없어집니다. 그 때 병원은 이에 들어가던 비용을 얻을 방법을 찾지 못하면,
병원은 돈을 낼 수 없는 환자(unreimbursed care의 대상)를 받지 못하거나 또는 그 그 환자들의 치료로 인한 비용을 손해 볼 것이라는 이야기입니다.

Posted by kkckc
,

GMAT OG, CR, 145

GMAT 일기장 2011. 2. 18. 15:19

145. Between 1975 and 1985, nursing-home occupancy rates averaged 87 percent of capacity, while admission rates remained constant, at an average of 95 admissions per 1,000 beds per year. Between 1985 and 1988, however, occupancy rates rose to an average of 92 percent of capacity, while admission rates declined to 81 per 1,000 beds per year.

1975년에서 1985년 사이에, 요양원의 수용 평균 비율은 가용인원의 87%였다, admission rate(입원율, 신규)은 년간 1000개 침대당 95명 이었다. 1985년에서 88년 사이에는 수용 평균 비율은 가용인원의 92%였고, 입원율은 1000개 침대당 81명으로 감소했다.

If the statements above are true, which of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most properly drawn?

(A) The average length of time nursing-home residents stayed in nursing homes increased between 1985 and 1988.

요양원에 거주하는 평균 기간은 1985년에서 1988년 사이 증가하였다.

(B) The proportion of older people living in nursing homes was greater in 1988 than in 1975.

(C) Nursing home admission rates tend to decline whenever occupancy rates rise.

(D) Nursing homes built prior to 1985 generally had fewer beds than did nursing homes built between 1985 and 1988.

(E) The more beds a nursing home has, the higher its occupancy rate is likely to be.

 

답은 A, 요양원의 수용인원은 증가했지만, 입원율(신규)는 감소하였다. 이 말은 1985-88년 사이 사람들이 더 오래 머물러서, 입원률이 낮아졌음에도 불구하고, 수용인원은 많았음을 시사한다.

Posted by kkckc
,

GMAT OG, CR, 127

GMAT 일기장 2011. 2. 18. 12:20

127. Small-business groups are lobbying to defeat proposed federal legislation that would substantially raise the federal minimum wage. This opposition is surprising since the legislation they oppose would, for the first time, exempt all small businesses from paying any minimum wage.

소기업그룹은 정부의 최저임금 인상 법안에 반대로비 중이다. 이러한 로비는 놀라운데, 이 법안이 소기업의 최저임금 지급에 대해서 처음으로 면제시켜주고 있기 때문이다. : 최저임금을 높이지만, 소기업을 면제시켜주면, 소기업에는 별 상관 없을 것 같은데, 그들이 반대하는 이유는?

Which of the following, if true, would best explain the opposition of small-business groups to the proposed legislation?

(A) Under the current federal minimum-wage law, most small businesses are required to pay no less than the minimum wage to their employees.

: 현행 최소임금법상, 대부분의 소기업은 직원들에게 최저임금보다 적게 줄 수 없기 때문이다. (응?)

(B) In order to attract workers, small companies must match the wages offered by their larger competitors, and these competitors would not be exempt under the proposed laws.

: 직원들을 attract하기 위해서, 소기업들은 큰 경쟁자들만큼 임금을 지불해야 할 것이다. (큰 경쟁자들은 최저임금 인상 적용을 받음)

(C) The exact number of companies that are currently required to pay no less than the minimum wage but that would be exempt under the proposed laws is unknown.

(D) Some states have set their own minimum wages---in some cases, quite a bit above the level of the minimum wage mandated by current federal law---for certain key industries.

(E) Service companies make up the majority of small businesses and they generally employ more employees per dollar of revenues than do retail or manufacturing businesses.

답은 B이다. 답은 소기업에 악영향을 주는 것을 골라야 하는데, 실제로 대기업의 임금이 올라가면 소 그룹도 직원에게 돈을 더 주어야 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단순히 면제가 되었다고 해서 돈을 덜 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Posted by kkckc
,

Kaplan Verbal Workbook의 Passage 1부분의 의역입니다.

http://books.google.co.kr/books?id=3oxZ9WKnsTUC&pg=PA196&lpg=PA196&dq=gmat+%22great+chain+of+being%22+kaplan&source=bl&ots=tkJv2yKd1Q&sig=3Oa_APvIkE08v_9As4L3Qq93dz8&hl=ko&ei=oE5dTdCVBY2osAPT9bHtCg&sa=X&oi=book_result&ct=result&resnum=1&ved=0CCkQ6AEwAA#v=onepage&q&f=false

Passage 1 – FORSET

종교개혁 이후 가톨릭으로부터 인정받지 못한 후, 영국 사회는 불확실한 세상 속에서 새로운 질서를 부가하지 않을 수 없었다. 천상과 인간세상을 하나의 "거대한 존재의 사슬(great chain of being)"로 묶는 신적 계획(divine plan)을 주장함으로써, 몇몇 영국의 지식층들은 자연세계의 사슬에서 인간을 최상위의 위치에 놓게 된다. 이뿐 아니라, 그들은 인간사회를 수직적인 정치적 계층들로 인지했다. 예를 들어, 셰익스피어의 'Cariolanus' 작품에서 사회를 인간의 몸과 유사하게 비유한 것 같은 것이다. 엘리자베스 1세 여왕은 "발이 머리를 지배하지 못한다"고 주장하며 완고한 의회를 꾸짖었다. Edward Forest는 1606년 이 주장에 공감을 표현했다, 그가 어디가 계층에서 몸의 가장 높은 부분인지 고심하고 있었을 때, 말 그대로 그리고 정신적으로, 그것은 머리와 영혼이었다. Forset의 개념에서, 영혼과 군주제 모두 "단일성" 또는 "불가분(나눌 수 없음)"의 속성을 가지고 있었다. 영혼은 육체와 하나가 되어 몸의 지각을 지배하고, 군주는 국가(body politic)아 하나가 되어 이를 지배한다. 대중들의 큰 지지를 받았던 하나님의 의지가 엘리자베스와 그의 직통 후계자들에게 권력을 주었다는 확고한 생각은, 짧은 기간이었지만, 반역적인 생각과 행동들에 사상적인 제약을 주었다.

참고 : 존재의 사슬 이론에 의하면, 인간을 포함한 생물체와 이를 둘러싼 무생물들 등 자연을 구성하는 요소들은 모두 거대한 존재의 사슬(great chain of being)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 연결고리의 어느 한 부분만 파괴되어도 존재의 사슬 전체가 위협을 받게 된다. 이 존재의 사슬의 완전함을 유지시켜 준다는 점에서는 그 구성원 모두가 동등하다. 이러한 생각은 자연의 구성원 모두가 똑같은 존재의의를 가지며 따라서 모든 생물에게 그 고유의 생존권을 인정해야 한다는 소위 생물윤리로 발전하였다. 이 생물윤리에 의하면 인간과 자연은 일종의 윤리적 관계에 놓이게 된다.

Posted by kkckc
,

지문 분석, GMAT OG, Passage 14, meteor/유성

1. 유성에 대한 wiki의 설명을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미리 읽어보면 도움이 됩니다 J

유성(流星)은 별똥 또는 별똥별이라고도 하며[1], 유성체(문화어: 별찌)가 지구 대기권으로 매우 빠른 속도로 돌입하여 밝은 빛줄기를 형성하는 것이다. 유성은 지구 대기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며, 스스로 빛을 내는 항성과는 다른 것이다.

 

유성은 혜성에 서 떨어져 나온 돌가루라고 생각할 수 있으며, 유성이 되는 유성체는 대부분 굵은 모래알 정도로 작은 것들이다. 100km 정도 떨어져 있는 두 지점에서 유성을 동시에 관측하면 유성이 발생한 고도를 측정할 수 있다. 맨눈으로 볼 수 있는 유성은 대부분 약 70km 상공에서 발생한 것이다. 또한 스트로보스코프(Stroboscope)를 사용하여 유성을 사진으로 촬영하면 유성체의 속력을 측정할 수 있는데, 평균 50km/s 정도로 측정된다. 지구의 대류권의 두께가 10km 정도임을 생각하면 매우 빠름을 알 수 있다.

 

혜성에 서 나온 유성체는 초기에는 잘 모여서 띠를 이루다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햇빛에 의한 압력, 해와 목성과 같은 태양계 안의 큰 천체에 의한 중력 건드림(섭동)에 의해 원래 궤도를 이탈하여 태양계의 황도면에 퍼지게 된다. 나이가 젊은 유성류 속에는 혜성이 한 번 해에 접근할 때 함께 나온 젊은 유성체 띠가 존재하는데, 이 띠를 지구가 관통할 때면 1초당 1개 정도로 별똥이 매우 많이 나타나며 그것들은 하늘의 한 점에서 나오는 것으로 보인다. 이것을 별똥만발(meteor outburst)이라고 한다. 혜성으로부터 나온 지 어느 정도 오래된 유성체들은 느슨한 형태로 유성체 흐름을 이루고 있다. 그 속을 지구가 관통할 때면 1분당 1개 정도의 유성을 볼 수 있다. 이것을 유성우라고 한다. 또한 모혜성에서 떨어져 나온 지 많은 시간이 흘러 원래 궤도에서 벗어난 유성체들이 지구 대기 속으로 돌입하여 생기는 유성은 산발유성이라고 한다.

(http://ko.wikipedia.org/wiki/%EC%9C%A0%EC%84%B1)

아래 본문의 쌍둥이 자리(geminid)의 meteor shower 사진입니다

(출처: http://science.nasa.gov/science-news/science-at-nasa/2004/06dec_geminids/)

 

2. 본문 overview

A meteor stream is composed of dust particles that have been ejected from a parent comet at a variety of velocities.

유성의 stream 은 아빠별의 variety of velocities(다양한 중력들)으로부터 떨어져 나간 먼지 조각으로 구성(composed)되어 있습니다. : 아빠별의 중력으로부터 떨구어진… 그런 애들인 거죠.

These particles follow the same orbit as the parent comet, but due to their differing velocities they slowly gain on or fall behind the disintegrating comet until a shroud of dust surrounds the entire cometary orbit.

이러한 particles(아까 그 먼지 조각의 그 조각)은 부모별과 같은 궤도를 도는데, 각각 다른 중력을 가진 애들이 아빠별(붕괴되고 있는)을 엎치락 뒤치락 따라가면서(gain on, fall behind), 행성 전체 궤도를 요 조각으로 가득 채울 때까지 합니다. : 아빠별이 붕괴되고 있는 상황에, 이런 조각들은 아빠별 주변에 계속 생겨나서 아빠 별을 둘러쌉니다.

Astronomers have hypothesized that a meteor stream should broaden with time as the dust particles' individual orbits are perturbed by planetary gravitation fields.

그래서, 천문학자들은 가설을 세웠습니다. 그 가설은 행성(아빠 별)의 중력장이 약해짐(perturbed: alarm)에 따라서, meteor stream(아까 말했듯, 아빠 조각 깨지고, 주변에 particle이 생기는 것)이 시간에 따라 넓어지는 (broaden: wide)는 것입니다. : 아빠별이 점점 붕괴되는 상황에서, 주변에 생겨나는 별조각(유성의 stream, 아까 아빠별에서 떨어져 나간 조각들)들은 아빠별이 이 자식들을 잡아놓는 힘(중력장)이 약하니까, 점점 wide하게 분포된다는 가설을 세웠다는 이야기인듯 합니다.

A recent computer-modeling experiment tested this hypothesis by tracking the influence of planetary gravitation over a projected 5000-year period on the positions of a group of hypothetical dust particles.

최근 컴퓨터 모델링으로 요걸 실험해서 증명했습니다. 요걸 어떻게 했냐면, 가상으로 위의 과정을 만들어서 5000년 단위로 잡고, 시뮬레이션을 돌려본거네요. (좀 더 명확히 말하면, tracking the influence of planetary gravitation한겁니다. 즉, 중력의 변화에 따른 영향을 추적한겁니다.)

In the model, the particles were randomly distributed throughout a computer simulation of the orbit of an actual meteor stream, the Geminid. The researcher found, as expected, that the computer-theories broadened with time.

실제 쌍둥이 자리(Geminid)의 유성을 시뮬레이션 돌려봤더니, 예상처럼 잘 됩니다 J

Conventional theories, however, predicted that the distribution of particles would be increasingly dense toward the center of a meteor stream. Surprisingly, the computer-model meteor stream gradually came to resemble a thick-walled, hollow pipe.

근데, 전통적인 이론에서는 (however! 이런 거 보이면 중요하다고 하네요) 예측하기를, 유성 stream의 중심으로 갈수록 밀도가 증가될 거라고 예측했는데요. 놀랍게도!!! 시뮬레이션 해보니까, 이 유성 stream이 벽으로 싸여있는 듯한, 파이프처럼 속이 비어있는 그런 모양이었다는 겁니다!

 

Whenever the Earth passes through a meteor stream, a meteor shower occurs. Moving at a little over 1,500,000 miles per day around its orbit, the Earth would take, on average, just over a day to cross the hollow, computer-model Gemini stream if the stream were 5000 years old.

지구가, 이러한 유성 stream을 지날 때, 유성우(a meteor shower)가 발생합니다. 지구는 하루에 1500000마일을 돌고, 시뮬레이션 돌려보니, 쌍둥이 자리 stream이 5000년짜리 stream일 때, 이를 통과하는데 하루 이상 걸립니다.

Two brief periods of peak meteor activity during the shower would be observed, one as the Earth entered the thick-walled pipe" and one as it exited. There is no reason why the Earth should always pass through the stream's exact center, so the time interval between the two bursts of activity would vary from one year to the next.

좀 전에 나온, shower(그림 참조)가 정점에 달하는 것을 볼 수 있을 때가, 아까 말한 파이프 모양 유성 stream를 들어가고 나올 때입니다. 그치만 지구가 stream의 정확한 중심을 지나갈 이유는 없기 때문에, 시간 간격은 매년 유동적일 것입니다.

Has the predicted twin-peaked activity been observed for the actual yearly Gemini meteor shower?

이러한 예측(2개의 정점!)이 실제로도 관측이 되어왔는지……요?

The Gemini data between 1970 and 1979 show just such a bifurcation, a secondary burst of meteor activity being clearly visible at an average of 19 hours (1,200,000 miles) after the first burst.

1970년에서 1979년의 쌍둥이 자리 데이터를 보면, 그래도 간격이 존재하는데, 처음의 극(들어갈 때)의 등장(burst)과 다음 극(나갈 때)의 평균 간격은 19시간(1200000마일)로 clearly visible합니다.

The time intervals between the bursts suggest the actual Geminid stream is about 3,000 years old.

이러한 시간차는 쌍둥이 자리 stream이 실제로는 3000년 짜리인 것을 시사합니다.

Posted by kkckc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