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st large corporations in the United States were once run by individual capitalists who owned enough stock to dominate the board of directors and dictate company policy.

미국의 대기업들은 한때 대주주인 개인투자자들에 의해서 좌지우지 되었었다. (임원과 회사규범을 지배할 만큼 주식이 있는 개인 투자자)

Because putting such large amounts of stock on the market would only depress its value, they could not sell out for a quick profit and instead had to concentrate on improving the long-term productivity of their companies.

왜냐하면, 그런 많은 주식을 팔아봐야, 가치만 떨어지기 때문에, 그들은 단기수익을 위해 이것들을 팔 수 없었고, 대신 그들은 그 회사의 장기 생산성의 향상에 목적을 두었었다.

Today, with few exceptions, the stock of large United States corporations is held by large institutions—pension funds, for example—and because these institutions are prohibited by antitrust laws from owning a majority of a company's stock and from actively influencing a company's decision-making, they can enhance their wealth only by buying and selling stock in anticipation of fluctuations in its value.

오늘날, 몇몇 예외들과, 미국 대기업들의 주식은 대형기관들 - 예를 들면 연금 funds- 이 가지고 있고, 반 독점법이 대형기관들의 주식 대량 소유나, 경영권 참여를 금지하기 때문에, 그들은 주식의 변동을 예측해서 팔고 사는 것만으로, 자산을 불릴 수 있게 되었다.

A minority shareholder is necessarily a short term trader. As a result, United States productivity is unlikely to improve unless shareholders and the managers of the companies in which they invest are encouraged to enhance long-term productivity (and hence long-term profitability), rather than simply to maximize short-term profits.

Minority 주주들은 필연적으로 단기 투자자들이다. 이 결과로, 미국의 생산성은 증가할 것 같지 않아 보인다 (long-term productivity 보다 short-term profits을 추구하게 되기 때문에)

=> 옛날에는 대주주 개인투자자들이 장기투자로 회사 경영에 참여해서, 장기 전략을 세웠지만, 지금은 institutions들이 반 독점법으로 인해서 경영권에 참여할 수 없고, 회사의 majority 주주가 될 수도 없다. 이러한 상황은 필연적으로 그들을 장기투자자 보다는 단기 투자자를 만드는데, 단기투자자들은 장기 생산성 보다는 단기 순익을 추구하기 때문에, 회사의 생산성은 그닥 증가하지 않는다.

 

Since the return of the old-style capitalist is unlikely, today's short-term traders must be remade into tomorrow's long-term capitalistic investors.

옛날 방식의 자본가가 복귀할 것 같지 않은 상황에서, 오늘날의 단기 trader들은 반드시 내일을 위한 장기 자본 투자자로 재구성되어야 한다.

The legal limits that now prevent financial institutions from acquiring a dominant shareholding position in a corporation should be removed, and such institutions encouraged to take a more active role in the operations of the companies in which they invest.

대형기관들이 대주주(dominant 한)가 되지 못하게 하는 이러한 법적 제제는 없어져야 한다. – 그리고, 이러한 이 대형기관들은 좀더 그들이 투자한 곳에 active role을 가지도록 encouraged되어야 한다.

In addition, any institution that holds twenty percent or more of a company's stock should be forced to give the public one day's notice of the intent to sell those shares.

또한, 20%나 그 이상의 주식을 가진 기관들은 언젠가 그들이 이 주식들을 팔기 하루 전에 통지(one day's notice)하도록 강제(forced)되어야 한다.

Unless the announced sale could be explained to the public on grounds other than anticipated future losses, the value of the stock would plummet and, like the old-time capitalists, major investors could cut their losses only by helping to restore their companies' productivity.

만약 통지된 sale이 예상되는 미래의 손해 이외의 다른 이유(근거)들에 대해서 public에게 설명되어 지지 않는다면, 주식가치는 (옛날의 자본가들 때처럼) 추락할 것이다, 주 투자자들은 회사의 생산성을 회복시키는 것을 돕는 방식으로만 그들의 손해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Such measures would force financial institutions to become capitalists whose success depends not on trading shares at the propitious moment, but on increasing the productivity of the companies in which they invest.

이러한, 조치(measures)들은 금융 기관들이 그들의 성공을 순간의 단기 트레이드에 의존하지 않고, 그들이 투자한 회사의 생산성 향상에 의존하는 자본가가 되게 할 것이다.

=> 그래서, 반 독점 법을 없애되, 투자했다가 상황 안 좋으면 주식 빼서 도망 못 가도록 팔기 하루 전 공지를 강제해서, 투자자와 회사가 공동운명체가 되도록, 그리고 장기 투자자가 되어 회사의 생산성에 기여하도록 하자는 이야기.

Posted by kkckc
,

GMAT OG, CR, 197

GMAT 일기장 2011. 2. 19. 12:04

197. To persuade consumers to buy its personal computers for home use, SuperComp has enlisted computer dealers in shopping centers to sell its product and launched a major advertising campaign that has already increased public awareness of the SuperComp brand. Despite the fact that these dealers achieved dramatically increased sales of computers last month, however, analysts doubt that the marketing plan is brining SuperComp the desired success.

SuperComp회사는 PC판매를 위해
(1) 광고를 크게 해서 브랜드 인지를 높였다.
(2) 쇼핑센터에 자사 PC 판매를 위한 computer dealer를 배치시켰다
=-> 위의 딜러가, 저번 달에 높은 컴퓨터 판매량을 거두었다.

그러나, analysts는 위의 마케팅 plan이 desired success를 가져왔는지 의문을 제시하였다.

Which of the following, if true, best supports the claim that the analysts' doubt is well founded?
analysts의 주장을 강화하는 지문은 무엇인가?

(A) In market surveys, few respondents who had been exposed to SuperComp's advertising campaign said they thought there was no point in owning a home computer.

(B) People who own a home computer often buy a second such computer, but only rarely do people buy a third computer.

(C) SuperComp's dealers also sell other brands of computers that are very similar to SuperComp's but less expensive and that afford the dealers a significantly higher markup.

SuperComp딜러들은 SuperComp의 컴퓨터와 유사기종이지만 저렴한 다른 브렌드 PC를 판매하였다. 이것이 딜러의 높은 판매율의 요인이다.

(D) The dealers who were chosen to sell SuperComp's computers were selected in part because their stores are located in shopping centers that attract relatively wealthy shoppers.

(E) Computer-industry analysts believed before the SuperComp campaign began that most consumers who already owned home computers were not yet ready to replace them.

답은 C입니다. 마케팅 플렌의 목표는 SuperComp의 PC판매가 목적이었습니다. SuperComp의 딜러가 자사 PC가 아닌 다른 브랜드의 PC를 팔았을 경우에는 매출 증가나 딜러의 판매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본래의 마케팅 플랜의 목적(자사 PC판매)이 약화됩니다.

Posted by kkckc
,

몽골과 관련된 몇 가지 링크를 공유합니다.

 

1. 몽영 / 영몽 사전

http://www.bolor-toli.com/

http://translate.mart.mn/#

 

2. 몽한 / 한몽 사전

http://dic.on-toli.com/modules/korea/korea-rech.php

 

3. 기타

사전 관련 링크 모음: http://www.lexilogos.com/english/mongolian_dictionary.htm

몽골어 성경: http://gospelgo.com/a/2008p/bible.htm

 

도움이 되면 좋겠네요 :)

Posted by kkckc
,

"산에서 조난당한 사람이 조난당한 현장에서 죽는 경우는 퍽 드물어요. 대부분 마을 가까이 내려와서 죽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조난당한 사람은 자기가 마을 인근까지 내려왔다는 사실을 알지 못하지요. 이제는 도저히 안 되겠다, 더 이상 희망이 없다고 생각하고 모든 것을 포기해버림으로써 죽음을 맞이하고 맙니다. 그래서 전문 산악인들은 '조난을 당해서 버티다가 마지막이라고 느꼈을 때 30분만 더 버티라'고 가르칩니다. 만일 마을 가까이 내려왔다는 사실을 알았다면 그들은 결코 죽지는 않았을 겁니다."

이 이야기는 친하게 지내는 전문 산악인한테 들은 이야기입니다. 저는 이 이야기가 꼭 산에서 조난당한 사람들에게만 해당되는 말이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바로 오늘을 살고 있는 저에게도 해당되는 말이라고 생각합니다.

 

- 정호승님의 산문집, "내 인생에 힘이 되어준 한마디"중에서

Posted by kkckc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