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MySQL 설정

아래는 MySQL 설정 파일입니다.

shell) vim /etc/my.cnf.d/server.cnf  

아래를 참고하여 수정합니다. 단 아이디는 위에 생성한 아이디와 일치시키고, NODE01/02는 각 노드의 IP를 적습니다.

[A] NODE01 서버

[mysqld]

wait_timeout=2147483

skip-name-resolve

max_allowed_packet=128M

[galera]

wsrep_on=ON

wsrep_provider=/usr/lib/galera/libgalera_smm.so

wsrep_node_address=NODE01

wsrep_node_name=NODE01

wsrep_sst_method=rsync

wsrep_sst_auth=[mariauserd:mariauserd]

wsrep_sst_receive_address=NODE01

innodb_flush_log_at_trx_commit=2

binlog_format=ROW

bind-address=0.0.0.0

binlog_format=ROW

default-storage-engine=innodb

innodb_autoinc_lock_mode=2

innodb_locks_unsafe_for_binlog=1

wsrep_cluster_address='gcomm://NODE02'

server_id=1

[B] NODE02 서버

[mysqld]

wait_timeout=2147483

skip-name-resolve

max_allowed_packet=128M

[galera]

wsrep_on=ON

wsrep_provider=/usr/lib/galera/libgalera_smm.so

wsrep_node_address=NODE02

wsrep_node_name=NODE02

wsrep_sst_method=rsync

wsrep_sst_auth=[mariauserd:mariauserd]

wsrep_sst_receive_address=NODE02

innodb_flush_log_at_trx_commit=2

binlog_format=ROW

bind-address=0.0.0.0

binlog_format=ROW

default-storage-engine=innodb

innodb_autoinc_lock_mode=2

innodb_locks_unsafe_for_binlog=1

wsrep_cluster_address='gcomm://NODE01'

server_id=1

5. NODE01/02 자동시작 삭제 및 시작테스트

[A] NODE01 서버

shell) chkconfig --del mysql  
shell) service mysql start --wsrep-new-cluster --wsrep-cluster-address="gcomm://"

[B] NODE02 서버

shell) chkconfig --del mysql
shell) service mysql start

6. 기본 DB Schema/Data가 있다면 넣어주기

shell) mysql –umariauser –pmariauser < ./SampleDB.sql

7. 자동실행 파일 작성 및 설정

아래와 같이 자동실행 파일을 생성합니다. 첨부파일 내용은 상황에 맞게 수정합니다. 아래 'galera 실행화일'을 /etc/init.d/galera에 생성합니다. 주의사항은 NODE01 또는 NODE02가 살아나는 시차가 있어야 합니다. (왜냐하면 처음 살아나는 노드가 MASTER가 되도록 설정하였기 때문입니다 아래 적색 부분과 같이 한개 노드에만 시차를 주어도 좋습니다.) 또 아래 NODE02라고 써진 부분은 상대편 노드 IP를 적습니다.

* galera 실행화일 (/etc/init.d/galera)

#!/bin/bash

### BEGIN INIT INFO
# Provides:        galera-mysql
# Short-Description: Start/Stop galera server
# chkconfig: 345 99 10
# description: galera service scri
### END INIT INFO

PATH=/sbin:/bin:/usr/sbin:/usr/bin

start() {
  sleep 20
  r=$(bash -c 'exec 3<> /dev/tcp/NODE02/3306;echo $?' 2>/dev/null)
  if [ "$r" = "0" ]; then
      echo The database on the other node is running.
      /etc/rc.d/init.d/mysql start
  else
      echo The database on the other node is not running
      /etc/rc.d/init.d/mysql start --wsrep-cluster-address='gcomm://'
  fi
}

stop() {
 sh /etc/rc.d/init.d/mysql stop

}

status() {
 sh /etc/rc.d/init.d/mysql status
}

case $1 in
  start|stop|status) $1;;
  restart) stop; start;;
  *) echo "Run as $0 "; exit 1;;
esac 

[A] NODE01 서버

shell) cp galera.node01 /etc/init.d/galera
shell) chmod 775 /etc/init.d/galera
shell) chkconfig --add galera

[B] NODE02 서버

shell) cp galera.node02  /etc/init.d/galera
shell) chmod 775 /etc/init.d/galera
shell) chkconfig --add galera

8. 상태체크 및 기타사항

8.1 서버 강제종료/다운 후 시작이 안되는 경우

shell) vim /var/lib/mysql/grastate.dat
safe_to_bootstrap: 1      // 0으로 변경

8.2 장애복구 시 참고 사이트

https://www.percona.com/blog/2014/09/01/galera-replication-how-to-recover-a-pxc-cluster/


감사합니다.

Posted by kkckc
,

0. 시작하면서

 이 문서는 galera를 이용하여 MariaDB는 이중화를 지원하는 방법을 기술합니다. 내용은 Centos 5에서 테스트되었습니다. 기본적으로 Galera는 Active-Active 구조로 이중화를 지원하지 않고, 홀수개의 DB를 설치할 경우 다수결의 원칙에 의해 신뢰할 수 있는 노드를 선택합니다. 이에, 이중화(2개 노드 사용) 사용시는 어플리케이션 단에서 충분한 테스트 및 관리가 필요합니다.


1. 기존 MariaDB 제거하기 (1번 2번 노드 공통)

- MariaDB Server가 이미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하기

$ rpm -qa | grep Maria
조회가 되면 서버에 한해서만 설치 제거(dependency로 인해 삭제가 안되는 경우에는 –nodeps 옵션을 사용합니다.)
$ rpm -e  MariaDB-server-10.0.15-1

- 기존 MySQL이 설치된 경우 제거하며, MariaDB Client는 제거하지 않습니다.


2. RPM 설치하기 (1번 2번 노드 공통)

아래와 같이 RPM을 구해서 설치하거나, yum을 사용하여 설치합니다.

(https://mariadb.com/kb/en/mariadb/yum/#installing-mariadb-galera-cluster-with-yum)

Shell) rpm -Uvh MariaDB-* galera-25.3.18-1.rhel5.el5.i386.rpm perl-DBI-1.52-2.el5.x86_64.rpm

# RPM 목록은 다음과 같습니다.
MariaDB-Galera-10.0.28-centos5-i686-server
MariaDB-Galera-10.0.28-centos5-i686-test
MariaDB-10.0.28-centos5-i686-common
MariaDB-10.0.28-centos5-i686-client
galera-25.3.18-1.rhel5.el5.i386
perl-DBI-1.52-2.el5.x86_64


3. 기본 유저 생성하기 (1번 2번 노드 공통)

첨부파일을 참고하여 아래와 같이 유저를 생성합니다. 첨부파일 내용은 상황에 맞게 수정합니다.

아래 Sample 파일은 mariauser/mariauser라는 사용자 아이디/패스워드와 동기화를 위한 mariauserd/mariauserd 계정 및 권한을 생성합니다.

shell) service mysql start
shell) mysql –uroot –p < ./DEF_USER.sql
shell) service mysql stop

DEF_USER.sql

* 다음편에는 Mysql 설정파일 변경 및 자동실행 등에 대해서 다루겠습니다.


Posted by kkckc
,

안녕하세요. 무료 캐드 프로그램 2종류를 소개합니다.

1. NanoCAD 5.0

모든 목적에 무료입니다.!
nanoCAD is free to use and share for individual and commercial purposes.

http://nanocad.com/page/DownloadNanoCAD


2. 드레프트사이트 프리 (DraftSight)

https://www.3ds.com/ko/products-services/draftsight-cad-software/free-download/

원래는 아래와 같이 무료버전 다운로드를 제공했는데, 현재 링크는 교육, 시설, 교육 및 / 또는 학업 목적으로만 제한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아래는 완전무료버전(2015년) 시점의 버전 링크이지만, 30일 이후 Activation이 필요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현재는 라이선스 정책이 조금은 모호한 것 같습니다.

http://download.cnet.com/DraftSight-64-bit/3000-18496_4-75855080.html

감사합니다.

Posted by kkckc
,

Centos 에서 R을 설치하려고 하면 패키지를 찾을 수 없다고 나옵니다.

그럴 경우 아래와 같이 EPEL(Extra Package for Enterprise Linux)을 설치 후 설치하면 쉽게 설치 가능합니다.

shell) yum install epel-release

shell) yum install R

감사합니다.


Posted by kkckc
,

VirtualBox에 Centos 7을 깔았습니다.

Linux에서 가장 잘 쓰는 기능 중 하나는 작업공간(Workspace)간 이동인데, 기존 Centos 5 또는 6 처럼 'ctrl + alt + 왼쪽/오른쪽 화살표' 눌러도 이동이 되지 않았습니다. 해외 포럼을 찾아보니, Virtualbox의 자동으로 키보드 잡기 체크박스를 비활성화 하면 된다는데 그것도 안되고 Host키를 변경해도 안되더라구요.

확인해보니 Workspace가 기존에는 가로로 4개가 있었다면, 7에서는 세로로 4개가 있습니다. 즉 'ctrl + alt + 위/아래 화살표'로 이동해야 단축키로 workspace 간 이동이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I have installed the centos 7 on the virtualbox but shortcut (ctrl+alt+left/right key) for shifting workspace did not work properly even if I changed the configuration of the virtualbox. The workspace was vertical rather than horizontally and you can change your active workspace with ctrl+alt+up/down key.

Posted by kkckc
,

얼마 전에 4만 키로 정도 운행한 아베오의 배터리가 방전되었습니다.

간간히 시동이 걸리긴 했지만 요즈음 날도 춥고 배터리 수명도 다 한것 같아서 어제 저녁에 일산 코스트코에서 배터리를 갈아 주었습니다.

쉐보레 차량의 경우 전기계통 오류가 간간히 발생하여 배터리 교환이 안된다고 하셨지만, 어떻게 잘 이야기 드려서 교환에 성공한 것 같습니다.

총 발생 비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쉐보레 차량은 (일산) 코스트코에서 배터리 교환이 불가하다고 합니다. 이유는 쉐보레 차량의 전기 계통부분의 잦은 오류로 인하여 교환 불가 항목으로 내부 방침을 정하고 있고, 또한 점차 물건을 안 들여 놓고 있다고 합니다.

2. 조심스럽게 "배터리가 문제가 될 것이 없지 않나요?"라고 했더니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며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다" 라고 답변을 받았으며 구체적인 답변은 듣지 못했습니다. 제 차량 한정해서는 현재까지 큰 문제 없습니다. (마이링크 장착 안된 기본 차량입니다)

감사합니다.

Posted by kkckc
,

윈도우 10 업그레이드 이후 아래와 같이 Virtualbox 호스트 전용 어댑터 설정시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였습니다.


오류 메시지는 Failed to open/create the internal Network로 다음과 같습니다.

그런 경우 네트워크 연결 속성에서 Virtualbox Host-Only Network속성을 확인합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Virtualbox NDIS6 Bridged Network Driver가 체크안되어 있는 경우 체크합니다.


감사합니다.



Posted by kkckc
,

Getter/Setter Macro입니다.
코드에 하나씩 (1) 선언 (2) Get (2) Set Method를 작성할 필요가 없게 되며, 필요시 구분하여 사용하여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The follow codes are the example macro of getter/setter. This code can auto-generate (1) defintion (2) getter method (2) setter method once at all and you can save you time :)

Thank you very much.

1) Make a Header File as follows


2) Sample Code

2.1) Sample Header

2.2) Sample Code


Posted by kkckc
,

1) PSR/SSR Mode A/C

일반적인 PSR(Primary Surveillance Radar)는 커다란 안테나가 빙글빙글 돌면서, 전파를 쏘고 반사파를 받아서, 화면에다가 표시해주는 역할을 하지요. (그림에서 아래 커다란 반원형 부분) [1]

 

Air Route Surveillance Radar primary & secondary radar system

 

PSR을 사용하여 비행기의 위치를 표시할 경우 그림은 다음과 같게 나옵니다. PSR데이터를 통해 시스템은 비행기의 위치가 점으로 표시하게 됩니다.

 

 

이 정보는 항공기의 대략적인 X, Y 축의 위치만을 알려주게 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대략적인 정보 만으로는 관제에 필요한 정보가 제한됩니다. 왜냐면 비행기의 종류나 고도 또한 관제의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목적으로 SSR(Secondary Surveillance Radar) 시스템이 제안됩니다. (또는 ATCRB(Air Traffic Control Radar Beacon System)라고도 부릅니다.) SSR이 신호를 받는 비행기들은 자신에 대한 정보를 주세요라고 Broadcast로 질문을 던집니다. 그러면, Mode A/C가 장착된 항공기에서는 이에 대해서 (1) 자신의 종류 (Mode A) (2) 고도 (Mode C)Broadcast로 응답하게 됩니다. (위의 안테나 그림에서 아래 타원형 안테나 위에 긴 막대기가 SSR 레이더입니다.)

 전문적인 정의로는 SSR은 지상설비인 Interrogator 부터 질문 신호를 발사하면, 항공기의 Transponder가 질문신호에 대응하는 응답신호를 지상설비로 반송하는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SSR System은 지상국으로부터 1030 MHz의 질문에 대하여 Transponder가 일제히 1090 MHz로 응답합니다.

 SSR Transponder에서는 일괄질문(All Call)에 대하여 Mode “A”(식별코드)/“C”(고도정보) 응답을 보내어 지상관제사는 항공기의 방위, 거리, 식별코드 및 고도를 알 수 있게 되어 항공기를 쉽게 구별할 수 있게 합니다. (일반적 식별 코드에 대해서는 Transponder Code에 대한 [2]의 자료를 참고하세요)

 2) Mode S

 모든 시스템이 그렇듯, 세월이 지나면서 Mode A/C에 대한 제약이 발생합니다. 첫 번째 제약 사항은 모든 전파가 Broadcast로 통신되다 보니, 신호가 많아지는 경우 전파의 간섭이 생겨납니다. 두 번째 제약 사항은 Mode A, C가 전달할 수 있는 것보다 많은 양의 데이터를 통신하고 싶은 경우의 제약성입니다. 하단의 글은 이와 연관한 Mode S의 대략적인 설명입니다.

 

This new mode S technology is similar to the new digital cellular phones. Similar to mode A and C, years ago there was the analog cellular phone, which allowed basic communications with minimal features.

The current digital cellular phone has the same basic communication but affords more site capacity, better reliability and more capabilities such as text messaging, Internet access and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location information. The same holds true for mode S surveillance. The mode S-equipped airframe can now report identity, intent, capability and location.

 

Mode S는 위의 Mode A/C의 개량된 버전으로써, Mode A/C와의 가장 큰 차이점은 Broadcast -> 1:1 통신으로 바뀐 부분입니다. (Monopulse 기술이라고 부릅니다.) Mode S는 기존의 장비를 그대로 활용하면서, 아래와 같은 방법을 통해 mode-s는 항공기와의 1:1 통신을 확보합니다.

(1) 레이더에서 all call로 전파 발생시키면, mode a/c 장착 항공기는 응답, mode s 항공기는 미 응답

(2) 레이더에서 all call + mode s를 발생시키면, 모든 항공기(mode a/c + s) 응답

(3)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mode s항공기에 대한 식별 및 데이터 전송

 이러한 방법을 통해, Mode S는 기존의 SSR에서 문제로 대두되었던 전파의 간섭 현상을 해결하고, 추가적으로 확장된 항공기 위치, Heading, Speed, 선택된 고도 등 추가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됩니다.

 


[1] Fundamentals of Air Traffic Control

[2] http://en.wikipedia.org/wiki/Transponder_code#Transponder_codes


Posted by kkckc
,

* FDP 기본 기능

 

기본적으로 FDP 기본 기능은 비행에 관련된 비행 데이터를 다루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60년대의 비행 관제는 수작업으로 작성된 flight progress strips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1970년대 이후 FAA IBM 통하여 작업을 전산화한다.

 

 

 1980년대 중반 이후 FAA ARTS(Automated Radar Terminal System)를 통해 통합된 관제 시스템을 도입하게 되는데, 시스템에 대한 sub-system으로 FDP시스템이 도입된다.

 이러한 시스템은 국내에도 도입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인천 ACC 표준운영 절차에 의한 시스템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FDP subsystem flight plan 바탕으로 flight data 레이더 데이터를 상관시키는 업무를 담당한다. 이는 PLA PLB 나누어 구성되며, PLA 비행자료 메시지 처리·비행 자료관리 등과 같은 비행계획서의 오류에 관한 사항에 담당하며, PLB 비행경로처리, 비행감시 등과 같은 시스템 내부에서 비행계획서를 활용하여 비행경로를 예측·변환하고 가상항적을 생성시키며 실질적인 비행자료 분배·배달을 하는 TRAJECTORY MODELING 업무를 담당한다. 또한 FDP subsystem ATFM(air traffic flow management)정보 처리를 지원한다. 모듈의 구성 방식은 RDP체제와 동일하다.

 그러나, FDP 기능에 대해서는 기능에 따라, 정의한 기관에 따라, 정의한 목적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다.


* 예를 들어 인천공항공사 ACC 운영 지침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 모듈은 13개가 있다.

 

. AFTN LINK

FDP는 항공고정통신망(AFTN)과의 링크 기능을 제공한다.

 

. CONFORMANCE

 


이 기능은 항공기가 Flight Plan 경로를 준수하고 있는지에 대한 검증을 실시한다. 이러한 경로 준수에 대해서는 상호연관(correlation) 기능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상호연관이란 시스템 항적과 비행계획이 상호연관(correlation)되는 것을 말하며, 모델링된 항공기의 위치를 기준으로 실제항적이 종적:30, 횡적:20마일, 수직:10000피트 이내에 있어야 한다. (공항에서 출발하는 경우: 공항으로부터 10)

 

. PLANNING

비행 경로에 대한 Planning

 

. TRAJECTORY

이 기능은 Flight Plan에 따른 항공기의 궤도(trajectory)를 관리하는 기능이다.

 

. RDP INTERPOLATION

비행계획을 이용하여 레이더 전시면 상에 항공기의 위치를 가상으로 표시해주는 기능을 말하며, RDP로부터 항적의 위치가 보고되지 않은 1 frame coast가 실행되고 이후 4 프레임이 지나도록(설정가능) 레이더 자료가 더 이상 수신되지 않고 있는 경우에 실행된다. [1]

 

. (Flight Data) POSTING

비행 계획의 출력

 

. COORDINATION

조정 기능

 

. SUPERVISOR

관리자 기능

 

. FLOW MANAGEMENT

경로 관리 기능

 

. A&M

Aeronautical & Meteorological, 공항, 항행안전시설, 공항예보, 항공기상 정시관측 자료

 

. LATC (LOCAL ATC EXTERNAL INTERFACE MANAGEMENT)

외부 자료와의 연계 인터페이스

 

. FDTs (Flight Data Terminals)

 

비행자료단말기 FDT 15인치의 디스플레이 화면과 영문자, 숫자로 구성된 타이프 형태의 키보드 및 기능, 커서 제어키로 구성되어 있다. 모든 자료의 입력, 출력은 프로그램으로 지정된 두 개의 지정문자 또는 문자, 숫자로서 해당 양식을 추출하여 각 입력란(Field)에 써넣는다.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관제사가 요구하는 각종 수동 입, 출력 양식 - 컴퓨터에 송신한 메시지에 오류가 있을 때 나타나는 오류내용 - 관제사가 요구한 자료 - 도착 지연 VFR 항공기의 비행자료 - 비행 계획서 수용 능력 근접/도달, 경고 및 컴퓨터 운영경고 - 컴퓨터의 고장 자료(운영 모드, , , , 시 등) [3]

 

. TSIM (TERMINAL SERVER INTERFACE MANAGEMENT)

공항 터미널 서버와의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 항공관제 시스템 구축에 대한 ART 세미나 자료에서 발췌한 내용을 중심으로 기능을 나눈 기능명세는 다음과 같다. [4]

 

 

기능에 대한 세분화된 구성은 다음과 같다. [5]

1.Flight Data Message Processing

    • Flight Data Message Input Processing
    • Flight Data Message Output Processing
    • Non-ICAO Flight Plan Conversion

 

2.Flight Data Management

    • On-Line RPL Management
    • Flight Plan Validation and Correction
    • ICAO Flight Plan Message Processing
    • Flight State Management
    • Flight Data Distribution
    • SSR Code Management
    • Pre-Departure Clearance (PDC) Support
    • FIS Flight Plan Processing

 

3.Route Processing

    • Route Conversion
    • Trajectory Modeling
    • Flight Data Posting

 

4.Flight Monitoring

    • Track and Flight Plan Correlation
    • Flight Position Interpolation
    • Conformance Monitoring
    • Hold Processing

 

5.Sector Configuration Management

    • Inter- and Intra-Facility Coordination and    Handover
    • Flight Strip Printing
    • Air Traffic Flow Management

 

[1] 인천 ACC 표준운영절차

[2] ATC Centres Accommodating ACARS to ATN

[3] 한국공항공사 항공지식 항공용어풀이

[4] 항로관제시스템, 5 세미나 자료

[5] 시스템 구성 2 세미나 자료

Posted by kkckc
,

UTM (Unmanned Aerial Systems Traffic Management) 은 미연방 항공청(FAA) 지원으로NASA가 연구 개발중인 클라우드기반 무인항공기 관제 시스템입니다.

▷ 2015년 8월 ~ 2019년 3월 연구 진행, 125개 이상 대학, 기업 공동 연구
- Google, Amazon, Verizon, Stanford 대학 등 주요 기업, 대학 참여

▷ 단계별 연구가 진행 중이며 연구결과는 2019년 FAA로 이관하여 계속 진행 예정
- 1단계 (2015년): 선행 기술 연구 및 농어촌 중심 테스트 (Traffic 낮은 지역)
- 2단계 (2016년): 가변적 공역 할당, 충돌 방지 기능, 중소 도시 필드 테스트 (Traffic 중간 지역)
-3단계 (2018년): 드론 실시간 추적 및 모니터링, 간, 웹 포탈 개방 (다양한 생태계 영입), 민간에 제한적 사용 (Traffic 높은 지역)
-4단계 (2019년): 자동화 고도화, 안정화, 대도시 필드 테스트 (Traffic 고밀도 지역)

○ 연구 개발 배경

1) 현황: 미국의 경우 상업용도의 저고도 무인기 운용 필요성이 급증하고 있으나, 제도적인 한계

2) 해결 방안

▷ 무인기에 대한 관제 시스템 개발

▷ 공역 디자인, Geo-Fencing, 바람/기상 통합, 분리, 위험/우발사태 관리 기능 제공

3) 주요 과업

▷ 무인기 관제 시스템 설계 및 개발

▷ FAA 및 협력업체 간의 협업 및 테스트

4) 목표
▷ 저고도 무인기의 안전한 운영

5) 협력 업체 구성

▷ 국가 및 국제적으로 관심 있는 서비스 제공자, 무인기 제조사, IT업체, FAA 등

6) 목표 시스템

▷ 클라우드 기반의 무인기 관제 프로토타입 시스템

 

○ UTM 시스템 목적

  • 단기 목표: 빠른 시간 내에 드론 및 저고도 항공기의 안전 확보 (5년 이내)
  • 장기 목표: 자동화를 통한 수용성 확장, 안전성, 효과성, 사용성 증대 (10~15년 예상)

○ UTM 활용 가능 분야

○ 드론 관제 시스템 기능

  • 저고도 공역 관리 및 운용
    ▷ 고정형/가변형 구역 배정 (Geofences), 공역 관리 (Performance-based), 지리적 필요에 따른 응용 (산불 진화 등)

  • 바람 및 날씨 예보 통합
  • 항공기 교통 관리 (Congestion Management)

  • 무인기 간 분리: 공역 관리, 항공기 위치 추적, 관제센터 및 항공기간 데이터 통신(V2V, V2UTM)
  • 비상 상황 관리: 재난 상황에서의 시스템 활용

 

○ 드론 관제 시스템 Design Concept

 

○ 시스템 구성도


 











○ 시스템 운영 절차

  [참고] Geo-fence Monitoring 개념

 

주) 슬라이스, 이미지 등은 NASA 소개 자료에서 발췌하였습니다. (https://utm.arc.nasa.gov/)

 

Posted by kkckc
,

최근 회사에서 코이카(KOICA) 사업인, "캄보디아 민간항공교육센터 항행안전시설 기자재 공급"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국내 검수를 준비하던 중에 인터넷 상에 생각보다 정확한 정보가 많지 않아 내용을 공유합니다.

 

1. 국내 검수 시 주요 체크리스트

- 검수 물품의 공여 마크 부착 여부

- 검수 물품의 영문사용설명서 (없는 경우 직접 번역하여 영문 매뉴얼을 준비합니다.)

- 검수 물품의 수량 및 포장 상태 확인

- 검수 물품의 현지 전압/주파수에 적합한 제품 확인

- 사양 변경사항에 대한 관련 공문 및 자료 사본

* 입찰 시 제시된 과업지시서에 고지된 내용 및 제출된 제안서 물품 목록을 중심으로 준비합니다.

 

2. 검사 주의사항

- 외관/작동/성능검사를 실시합니다. 미리 제품을 뜯어서 올려놓고 준비해야 합니다. 제품과 함께 영문매뉴얼, 라이선스 등이 필요한 경우 함께 준비합니다.

- 검수 시 검수를 위한 제품조립 (샘플 1개)이 필요합니다. (예: 가구)
(가구의 경우 실제로 제안서에 나온 것과 일치하는지 길이를 잽니다.)

- UPS는 제안요청서 충족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부하검사를 실시합니다. 예를 들어 저희의 경우는 부하발생을 위해 용량에 맞는 히터를 준비, 전압기 측정 후 약 10분 이상 테스트를 진행하였습니다. UPS 개수에 따라 공장에 직접 찾아가서 공장검사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 전자제품의 경우 현지 전압 / 주파수 확인 방안을 준비합니다. 예를 들어 캄보디아의 경우 220V/50Hz 국가입니다. 이 경우 노트북 및 모니터의 해당 주파수 지원 여부 확인이 필요합니다. 각 사의 홈페이지에서 매뉴얼을 다운받아서 50Hz 지원 여부를 확인하여 해당 부분을 출력하거나, 노트북 어댑터의 50Hz 지원 표기, 제조사 공문(해당 제품은 220V/50Hz를 지원합니다) 등이 증빙이 될 수 있습니다.

- 소프트웨어 라이선스의 경우는 제품 설치 후 발효되는 것으로 준비합니다 (예: 제안요청서상에 2017년 2월 설치되어 2년간 보장되어야 하는 경우 제품 납품 시점이 아닌 2017년 2월로 준비)

- 전자제품, 컴퓨터 등의 경우 샘플 검사 시 실제로 전원을 넣고, 스팩을 확인합니다. 예를 들어 제안한 노트북의 사양이 i5 3.2Ghz, 4G 메모리, 1TB 하드라면, 검수 시 실제로 전원을 넣고 해당 사양을 프로그램을 돌려 확인합니다.

- 전자제품, 컴퓨터 등의 경우 명확하게 상위 사양을 증명할 수 있으면 납품이 가능합니다. (예: 윈도우 8.1 -> 윈도우 10, 메모리 4G -> 8G) 그러나 명확하지 않은 경우는 검수 전에 확인해야 합니다. (예: i5 3.2Ghz로 제안한 경우 i7-2.8Ghz 로는 납품 불가)

- 제안서에 주변기기 등이 명시되어 있는 경우 함께 납품합니다. (예: 프린터의 경우 추가 트레이가 제안서에 명시되어 있다면 함께 납품)

- 제안요청서에 성능확인 증명서류가 필요하다고 나온 경우 따로 준비해야 합니다. (예: 제품 성적서 등)

- 예비품은 전수검사 항목이므로, 미리 포장을 뜯어서 준비합니다.

- 검수 전에 검수품목에 대한 아래 그림과 같이 검수 항목에 대한 번호 및 이름, 모델, 수량 등의 태그를 붙입니다.

 

3. 공여마크 부착 주의사항

- 공여마크는 예전에는 직사각형 모양이었으나, 최근 아래 사진과 같이 변경되었습니다.

- 뒷면이 아닌 잘 보이는 곳에 부착해야 합니다. (예: 모니터의 경우 하단 고정 스탠드에 부착)

- 사이즈는 정해진 것은 없지만, 일반적으로 15cm/10cm/7cm/6cm/4cm/3cm 정도로 제작하여 사용합니다. 저희는 10cm, 5cm, 3cm 3종류를 제작하여 사용 하였습니다.

- 공여마크 재질에 대해서는 KOICA에 문의한 결과 공식적인 것은 없지만, 아래 부착조건에 부합하도록 알루미늄 재질을 사용합니다.
(재질 : aluminium plate(평면에 사용) & aluminium thin sheet, 은데드롱(평면 이외 기타곡면에 사용))

※ (참고) 공여마크 부착 조건

 - 실크스크린 또는 도장의 형태로 제품 표면에 반영구적으로 인쇄

 - 제품 특성 상, 인쇄가 불가한 제품은 스티커 형식으로 부착

 - 공여마크의 크기는 해당 품목에 적합하게 조정할 수 있으나, 공여마크의 가로세로 비율은 공지되어있는 비율 준수 필수

 - 공여마크 인쇄 시, 마크의 번짐 현상(태극마크 겹침 또는 문구의 번짐) 등이 있을 시에는 불합격 판정 기준에 해당

 - 1개 품목이라도 공여마크 미 부착 물품이 있을 시, 해당 검수는 불합격 또는 '준합격' 판정(단, 대량 수량에 대한 검수 진행일 경우, 견본 검사 후 현지에서 공여마크 부착에 대해 재 검수 진행(현지사무소 또는 관련 전문가 시행)

 

○ 공여마크는 실크스크린 또는 도장의 형태로 제품표면에 반영구적으로 인쇄되어야 하며 시안성이 좋은 정도로서 공개된 자료의 비율과 글씨 , 색상을 준수하고 제작 및 부착비용은 기자재에 포함한 것으로 봄

 - 특성상 인쇄가 불가한 제품은 스티커 부착이 가능하며 투습이 어려운 은색바탕 알루미늄 재질 부착으로 , 검수신청 이전 통보하여 KOICA 가 인정하는 경우에 한하여 단순품목 및 장비에 따라 필름, 일반 스티커 사용 또는 공여마크 부착 제외 가능

  * 공여마크가 없는 경우 , 품질이 현저히 저하하여 습기에 약하거나 충격으로 훼손・멸실이 예상되는 경우, 검수요령에서 인정하지 않는 경우 원칙적으로 불합격

 - 소단위 포장이 이루어진 경우로서 Cartoon Box 의 외부에도 공여마크를 부착하여야 하며 직접 현지로 조달하는 경우로서 물류를 직접 수행하는 경우 Wooden Box로 내용물을 고정하여 훼손되지 않도록 포장 , 외부에 Shipping 마크를 인쇄하여 통관이 용이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원칙적으로 모두 공여마크가 인쇄 또는 부착할 것

Posted by kkckc
,

안녕하세요.

서버 프로그래밍 시 레드햇 엔터프라이즈를 많이들 구매하시는데요.
라이센스 관련 정보에 대해 인터넷에 찾아보아도 정확한 정보가 없습니다.

한국레드햇에서 답변 받은 라이센스 정책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구매하셔서 사용하시고 계신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 서브스크립션과 관련하여,

레드햇 리눅스 서브스크립션은 기술지원이 필요한 제품에만 서브스크립션 계약을 맺는 것이 아닌, 귀사에서 사용 중이신 모든 레드햇 제품과 관련하여 맺으셔야 하는 계약입니다. (OEM 제품 포함)

이는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계약 1.2 조항 소프트웨어 사용과 서브스크립션 서비스 조항에 명시되어있습니다.

===============================================================

문의한 사항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레드햇 엔터프라이즈의 경우 구독(서브 스크립션) 년 단위의 계약이다.

 => 윈도우와 같이 구입하면 영구적으로 쓸 수 있는 것이 아님

 

2. 계약 단위는 사용 개수이다.

 => 회사에서 3대를 깔고 쓰면 3대만큼의 계약을 맺어야 함.

 

3. 년 단위 구독 계약을 하지 않는 경우 공개버전(예: Centos)만 사용 가능하며, 기존 Redhat Enterprise는 삭제해야 한다.

 => 서브스크립션만 서비스를 종료하면 되는 것이 아님

 => 년 단위 구독을 하지 않고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계속 사용 불가

 => 추가적으로, 인터넷에 접속되지 않아 서브스크립션을 사용하고 있지 않더라도. 미 계약후 Redhat 계속 사용 불가

 

계약 조항 전문은 다음에 있습니다:

http://www.redhat.com/licenses/apac_enterprise_agreement_appendices_one_and_two_webversion_korea_20150513v2.pdf

 

감사합니다.

Posted by kkckc
,

1. 윈도우 계열의 IP 충돌 CASE

(1) 컴퓨터 이름 얻기 (예: 172.23.37.186의 경우)  : nbtstat 사용  (윈도우 계열)
==========================

nbtstat -a 172.23.37.186
  
로컬 영역 연결:
Node IpAddress: [172.23.37.184] Scope Id: []

           NetBIOS 원격 컴퓨터 이름 테이블

       이름               유형         상태
    ---------------------------------------------
    KANGAA <00>  UNIQUE      등록됨
    WORKGROUP      <00>  GROUP       등록됨
    KANGAA <20>  UNIQUE      등록됨

    MAC 주소 = 08-11-96-81-A4-41

 

===>> 컴퓨터에 이름을 지정해 놓았다면, 위의 KANGAA 등을 통해 강씨 누구가 사용중이구나 알 수 있습니다.


(2) 같은 네트워크의 경우 (윈도우 네트워크 로그온)
==> 윈도우 -> 실행 -> \\172.23.37.186  
와 같이 입력할 경우사용자 명이 간단히 뜨고 로그인 화면이 뜹니다.
이때 해당 윈도우의 유저명이 함께 뜨므로 추적이 가능합니다.

2. 기타 계열  충돌 CASE (linux, 전화기, 공유기)
(1) port scan을 합니다. (리눅스 명령)
예)
linux shell) nmap -sT 172.23.37.186
Starting Nmap 4.11 ( http://www.insecure.org/nmap/ ) at 2009-05-06 10:06 KST
Interesting ports on 172.23.37.186:
Not shown: 1679 closed ports
PORT     STATE SERVICE
8000/tcp open  http-alt

(2) 위와 같은 경우 8000번이 열려 있습니다. 접속해보면 대강의 정보를 알 수 있습니다.
     공유기 또는 전화기의 경우 web interface를 지원하므로 해당 정보를 유추 가능합니다.

 

======================================

감사합니다.

Posted by kkckc
,

apache-log4cxx-0.10.0-patched.tar.gz


log4cxx  컴파일 안되는 경우 해결법 (A solution for the log4cxx compile error)

- It has been tested on gcc 4.6.1

1. Add "#include <string.h>" on those files
apache-log4cxx-0.10.0/src/main/cpp/inputstreamreader.cpp
apache-log4cxx-0.10.0/src/main/cpp/socketoutputstream.cpp

2. Add "#include <string.h>" and "#include <stdio.h>" on this file
apache-log4cxx-0.10.0/src/examples/cpp/console.cpp

3.Change those Makefile.am, change the first one to the second one.
(1) src/main/include/log4cxx/private/Makefile.am,

    * "privateinc_HEADERS= $(top_builddir)/src/main/include/log4cxx/private/*.h log4cxx_private.h"
    * "privateinc_HEADERS= $(top_builddir)/src/main/include/log4cxx/private/*.h"

(2) src/main/include/log4cxx/Makefile.am

    * "log4cxxinc_HEADERS= $(top_srcdir)/src/main/include/log4cxx/*.h log4cxx.h"
    * "log4cxxinc_HEADERS= $(top_srcdir)/src/main/include/log4cxx/*.h"

4. configure & make & make install (root)

Posted by kkckc
,